1983년 현대전자로 설립됐고, 2001년 하이닉스반도체를 거쳐 2012년 최대주주가 SK텔레콤으로 바뀌면서 SK하이닉스로 상호를 변경한 SK하이닉스의 주력 생산제품은 DRAM, 낸드플래시,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이며, 2007년부터 시스템 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 출하였습니다. 2020년 10월 인텔의 NAND 사업 양수를 결정하고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D램 28.1%, 낸드플래시 12.7%입니다.
하락 이유
SK하이닉스는 12일 종가 기준으로 91,500원으로 마감되었습니다. 매출이 대부분 반도체로만 이루어져 있고 그중에서도 메모리 위주로 매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부진한 이유는 DRAM 등 메모리 반도체의 가격이 줄줄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반도체 매도 리포트도 있었지만, 테이퍼링 이슈와 맞물린 하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주가 전망
SK 하이닉스 주가는 정말이지 "폭락"상태입니다. 6개월 전인 올해 3월에 15만5천 원까지 급등했던 SK 하이닉스 주가는 12일 종가 기준으로 91,500원으로 마감되었습니다. 이 가격은 약 1년 전인 지난해 11 월 수준까지 떨어진 정도입니다. 대한민국 코스피가 엄청난 하락을 보이긴 했지만, 아직 완벽한 바닥이라고 보이지는 않습니다. 하락이 멈추더라도 박스권을 그릴 가능성이 있고 바닥 매수보다는 분할매수를 시작해도 괜찮아 보입니다. 반도체 가격은 4분기와 1분기까지 약간 내려간 다음에 2분기부터 다시 상승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계속 내리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단석 공모주 확정과 청약 일정, 상장일, 수요예측 알아보자 (0) | 2023.12.15 |
---|---|
차백신연구소 주가 전망과 분석, 상승 이유는? (0) | 2021.10.23 |
삼성전자 주가 전망, 정보와 기업개요 알아보기 (0) | 2021.10.08 |
댓글